문간공 김세필 묘역 조선초중기 모습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조선 전기 문신 김세필과 그 후손들의 묘역 여러 대를 거쳐 조성된 묘역이라 조선 시대의 묘, 묘비의 변화를 볼 수 있다. 문간공 김세필과 정부인 고성이씨의 합장묘 1533년 졸한 김세필 당시의 묘비 세째 아들 김저와 정부인 고령신씨의 합장묘 둘째 아들 김구와 정부인 계배 삼합장묘 묘역으로 오르는 계단과 김세필 문학비 와운정사로 들어가는 기여문(나를 일깨우는 문) 기여문과 와운정사 와운정사 종친회 건물인 산앙재 문화유산 이야기 2020.11.27
용인 두창리삼층석탑 용인 두창리삼층석탑 Yongin Duchang-ri three-story stone tower 삼층석탑은 두창저수지 서안(西岸)에 있다. The three-storied stone pagoda is located ... in the West Bank of Duchang Reservoir. 원래는 개인의 밭에 있었으나 1989년 두창저수지를 만들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놓은 것이다. Originally in a private field, In 1989, w.. 문화유산 이야기 2020.04.12
임진각을 찾아서 문화유산 활용기획자 양성 (아카데미 2기) 6회차 교육이다. 절반이 넘는 날로 '근대문화유산' 교육 후 임진각을 향해 떠났다. 6.25와 민족 상잔, 평화와 통일에 관한 이야기가 주제였다. 온통 단풍으로 물든 가로수와 산을 보면서 즐긴 하루였다. 어려서 마을 한 가운데로 호남선이 있어 날.. 문화유산 이야기 2017.11.01
한산이씨 음애공파 고택을 찾아서 한산이씨 음애공파 고택 본채-좌측(청방, 사랑방) 팔자 지붕, 가운데(건넌방, 대청), 우측(안방) 두 곳은 맞배 지붕 최근에 지은 사당 본채 가운데 대청마루 뒷마당에 있는 굴뚝 3개, 쪽마루(좁게 짠 툇마루) 뒷마당의 담장 사당으로 통하는 대문 앞마당 담장과 음애 이자의 묘가 있는 앞산 .. 문화유산 이야기 2017.10.25
심곡서원을 찾아서 심곡서원 외삼문 심곡서원 종합 안내판 산신제- 현재 용인 주민들을 대상으로 서예를 가르치고 있다. 사우(사당)- 강당(일소당) 뒤편 언덕에 있다. 심곡서원 창설 당시에는 사우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있었다. 사우 옆에 있는 장서각 서재(거인재) 기초석은 자연석으로 되었다. 1901년에 동.. 문화유산 이야기 2017.10.19
회암사지, 회암박물관, 회암사를 찾아서 회암사지 입구에서 올려다본 부지 회암사지 위에서 내려다본 부지 회암사지 부도탑과 정교한 문양(보물 제388호) 대장전지 앞에 놓인 윤장대 서승당지에 있는 아궁이, 60-70명이 숙박하며 아궁이는 4개, 국내 최고의 온돌 시설로 특수 구조로 되었음. 화장실터와 근처에 있는 세수대 주방은.. 문화유산 이야기 2017.10.11
한강 제1경, 양평 두물머리를 찾아서 한강 제1경, 양평 두물머리를 찾아서 가족과 함께 부담없이 찾고 싶은 곳이 두물머리다. 가끔 찾아와서 생각을 정리하고 새출발을 갖게한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하나가 되어 한강이 되어서일까? 선남선녀가 함께 찾아와 대화를 나누고 역사를 만든다. 소원을 들어주는 느티나무 두 그루.. 문화유산 이야기 2017.10.05
용인시 등잔박물관을 찾아서 용인시 등잔박물관을 찾아서 포은 정몽주 선생의 묘역에서 도로를 따라 200m를 올라가면 세계에서 유일한 "등잔박물관"이 나온다. 박물관 건물 자체가 등잔 모양이다. 지하 1층에서 지상 1, 2층의 구조로, 선조들이 사용하던 갖가지 등잔을 모아 전시해 놓았다. 특이하게 목, 금, 토, 일요일.. 문화유산 이야기 2017.10.02
용인시 충렬서원, 정몽주 묘소를 다녀와서 외삼문에 걸린 충렬서원 용인시 충렬서원, 정몽주 묘소를 다녀와서 용인시에 자리한 충렬서원과 정몽주의 묘소를 찾았다. 생거진천, 서거용인이라는 옛말이 있듯이, 살아서는 진천, 죽어서는 용인이 좋은 곳이란다. 용인은 해발고도가 높아 홍수나 폭우의 피해가 적고, 자연환경이 수려.. 문화유산 이야기 2017.09.30